분류 전체보기(404)
-
[Android] 이클립스 갈릴레오 버전 시, ADT 업데이트 에러 문제
까탈스러운 개발환경, 안드로이드 Windows 용 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을 구축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익숙한 one-click installation과는 달리, 다양한 프로그램들의 조합으로 개발환경이 구성되기 때문에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개발환경 설정과정을 많이 낯설어 하십니다. Windows OS 상에서의 안드로이드 개발환경은 대략 아래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안드로이드 개발환경 설정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포스팅이 있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1. Eclipse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2. JDK(Java Development Kit) 다운로드 및 설치 3. 환경변수(시스템) PATH 설정 4. Android SDK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5. Eclipse 상에서 ADT..
2012.01.11 -
[TSYNTAX] 초간편! 티스토리 Syntax Highlighter 적용하기!!
Google Syntax Highlighter 웹서핑을 하시면서 프로그램 코드의 각 구문들이 가독성 좋게 색깔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이것이 바로 인데, 코드를 자주 포스팅에 삽입하시는 분들께는 거의 필수입니다. 저도 적용하는 법을 몰라서 많이 헤매었는데, 생각보다도 훨씬 간단하게 티스토리 블로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포스팅 합니다. 사실, Syntax Highlighter를 티스토리에 적용하는 방법은 이미 많이 포스팅이 되어있는데요, 검색을 해보면 대부분의 포스팅이 아래와 같은 순서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 기존 설치 & 적용법 ] 1. Syntax Highlighter 최신 버전을 다운 2. 티스토리에 업로드 3. 스..
2011.10.09 -
[XNA] 이미지 로드하고 화면에 출력하기
이전 XNA 관련 글 보기 2011/09/15 [XNA] Wanna Make a Game? : XNA 4.0 소개, 그리고 설치 2011/10/01 [XNA] XNA 기본 함수 6가지와 동작원리 XNA의 기본 동작방식을 알아봤으니, 이제는 게임제작의 제일 기본이 되는 화면 출력을 해볼 차례입니다. 미리 정해놓은 그림을 화면에 로딩해서 띄워보는 거죠. 가장 기본인 만큼 어렵지는 않습니다. STEP 1. 새로운 XNA 프로젝트 생성하기 STEP 2. 화면에 출력할 그림 Content 프로젝트에 추가하기 STEP 3. 화면 해상도 변경해 보기 (800 x 600) STEP 4. 변수 선언하고 이미지로드 하기 STEP 5. Starting Debugging(F5) STEP 1. 새로운 XNA 프로젝트 생성..
2011.10.09 -
[DB]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DB의 종류)
널, 잘 모르겠어... DB.. DB는 무엇일까요? DBMS는 무엇일까요? 오라클 DB는 무엇이고, MS-SQL은 무엇이고, MySQL은 무엇일까요? 이것은 모두 다 저에게 하는 질문입니다. 그동안 '디비, 디비, 디비'... 말은 많이 들었지만,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공부한적이 없었기 때문에 도무지 명확하게 개념이 잡히지 않았습니다. 무엇보다도 프로그램을 하면서 DB가 필요한 상황이 올때마다 혼란스러웠던 것은 바로 이것이었습니다. 'DB이름도 종류도 뭔가 많은 거 같긴한데...' '뭔가 다른건가?' '다르니까 다른 이름을 쓰고 있겠지?' '그냥 운영체제를 골라쓰듯 선택의 문제일까? 아니면, 각각의 특징을 알고 상황에 따라 맞춰써야 하는 것일까?' 그냥 나무부터 배워도 되는데, 숲을 먼저 보지 못하면 좀 ..
2011.10.04 -
[Android] 위치 제공자 : 상황별 '최적 위치 제공자(Best Location Provider)' 선정 테스트
"나는 네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있다" 안드로이드에서 말하는 '위치 제공자'란? 스마트폰 어플 중 많은 어플들이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어떤 단말기를 쓰던지, 어떤 운영체제를 쓰던지간에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보가 필요하고, 또 이러한 위치 정보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누군가’가 필요합니다. 이때, 이 '누군가'가 바로 위치 제공자(Location Provider)입니다. 위치 제공자는 'GPS 모듈'처럼 같이 단말기에 부착된 하드웨어 일 수도 있고, 무선 네트워크나 전화 기지국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이용할 수 있는 기간시설이나 구조물일 수도 있습니다. 위치를 제공해줄 수 있는 기술이 더 는다면 이 위치 ..
2011.10.02 -
[XNA] XNA 기본 함수 6가지와 동작원리
XNA 4.0 기본 함수 6가지 XNA 프레임워크의 기본 구조를 한번 알아봅시다. XNA로 게임을 만들 때, 코딩을 완료하고 디버깅(F5)을 시작하면 XNA 내부에서 어떻게 처리를 할까요?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소스코드를 보면, 기본적인 동작원리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자동 생성되는 소스를 분석하면 기본 함수가 6가지가 있고, 이 함수들은 아래와 같이 동작합니다. XNA 기본 동작 원리 (인용:톡톡튀는 XNA를 이용한 단계별 슈팅게임 만들기 p.28) Game1() - GraphicDeviceManager 생성 - 초당 프레임 60 으로 지정 Initialize() - 프로젝트 초기화 작업 수행 - 서비스 요청 및 그래픽을 제외한 나머지 Asset 로딩 LoadContent() ..
2011.10.01 -
[Kinect] 최고의 모션인식 센서, Kinect Sensor (How I Met the XBOX360 & Kinect Sensor)
Hello, XBOX360 & Kinetic Sensor Microsoft의 Console, XBOX360 with Kinect Sensor 전 게임을 좋아하지만, 태어나서 단 한번도 콘솔 게임기를 사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런 제가 올해 여름, 홀린 듯이 ‘XBOX360’라는 콘솔 게임기를 사게 되었는데, 그건 바로 XBOX360에 달려 있는 'Kinect Sensor' 때문이었습니다. 작년 11월, 저는 친구들과 함께 G-STAR 2010에 갔었습니다. 생각보다도 훨씬 많은 인파에 깜짝 놀라며 오랜 시간 줄을 서서 기다린 끝에, 'Kinect Sensor'를 경험해 볼 수 있었는데, 그 때, 체험부스에서 했던 게임은 [ XBOX360 : Sonic Free Riders ] 였습니다. 게이머의 상체와 하..
2011.09.16 -
[XNA] Wanna Make a Game? : XNA 4.0 소개, 그리고 설치
XNA를 이용한 Game Engine XNA를 이용한 엔진이긴 하지만, XNA를 조금 배운다고 해서 이 정도를 만들어 낼 수는 없다 ;) XNA란? XNA는 Microsoft Visual Studio를 이용하여 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게임 개발 환경입니다. 2006년, Game Developers Conference 를 통해 발표된 이래, 2011년 9월 현재, 4.0 버전까지 공개되어 있습니다. 현재 많은 게임제작업체에서 Visual Studio의 ‘DirectX(언어 : C++)’를 이용하고 있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일반적인 유저에게 진입장벽이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사실, 제가 할 줄 모르는 건 다 진입장벽이 높은 것으로 치부하고 있습니다. 흐흐) 어쨌든, Microsoft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목..
2011.09.15 -
[Android] 안드로이드 게임 개발을 해보고 싶어요! (게임 개발에 요구되는 기본 지식)
내가 감탄하면서 즐겼던, Wind-Up Knight(Android)!!등에 달린 저것이 태엽이다. 태엽이 다 풀리기전에 태엽을 먹어야 한다완전 귀엽다. 게다가 3D다! 안드로이드 게임을 만들어 봅시다! 저는 게임을 좋아합니다. 뭣 모르던 어린 시절에도 게임이 '재미'가 있어서 좋아했지만, 나이가 든 지금에도 여러가지 이유로 게임이 참 좋습니다. 게임이든 세계적인 문학작품이든 간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작품 안에는 생각보다 많은 '사람'과 '사는 것'에 관한 것들이 녹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만약, 단순히 스마트 폰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벗어나, 작고 엉성하지만, '우리만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게임을 만들어서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신날까요? 예를 들어, 친구들 얼굴 사진을 그때 그..
2011.09.09 -
금련산 천문대 관측후기 : 견우와 직녀를 보다 (2011.8.4)
달, 2011.8.4 / Nexus S / 지난 한주는 모처럼의 휴가였습니다. 회사를 다닌지 얼마되지도 않았건만, 이상하게 저는 휴가를 몹시 기다렸습니다. 무엇 때문인지는 몰라도, 스스로 인식하는 것보다 살짝 지쳐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때, 자연스럽게 걸려온 '승여리'군의 전화 "별 보러 갈래?" 친구들과 별 헤는 밤 그렇게 급조된 별바라기 '루나리안', '승여리' 군, '픽션' 군, '에리카' 양은 부산 수영구에 위치한 를 찾았습니다. 금련산 천문대는 부산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유일한 천문대죠. 부산에 사시는 분들은 '김해 천문대'가 익숙하시겠지만, 김해 천문대는 생각보다 부산 외각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금련산 천문대와 김해 천문대의 위치 일부러 광안리와 해운대의 위치를 넣어봤습..
2011.08.09 -
[WP7] Windows Phone 7 Emulator (Day1-Part4)
( Image : http://channel9.msdn.com ) * 본 포스팅은 의 동영상 강좌, 'Windows Phone 7 Development for Absolute Beginners'을 바탕으로 실습하고 기록한 Windows Phone 7 개발강좌입니다. WP7 강좌 - 세번째 Windows Phone 7 Emulator 의 이모저모 Windows Phone 7 Emulator는 아직 국내에 판매되지 않은 Windows Phone 7(이하 WP7)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루트입니다. 물론 외국에서 단말기를 구입하셨거나 들여오신 분들을 제외하고 말이죠. 몇 일전, 전자제품을 좋아하는 친한 친구가 ‘WP7를 경험해볼 만한 단말기가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했는데..
2011.06.14 -
[WP7] 'Hello World' App 만들기!
( Image : http://channel9.msdn.com ) * 본 포스팅은 의 동영상 강좌, 'Windows Phone 7 Development for Absolute Beginners'을 바탕으로 실습하고 기록한 Windows Phone 7 개발강좌입니다. WP7 강좌 - 두번째 Level 1 Quest : 'Hello World' App 만들기 프로그램을 하는 사람이라면 그 누구도 비켜갈 수 없다!! 지금은 용을 한손으로 잡는 전사라도 그 언젠가 반드시 거쳐갔던, 'Hello, World' 출력하기! ^_^ 지난 시간에는 Windows Phone 7의 개발 환경을 구축해 보고, 혼자서도 공부할 수 있는 훌륭한 동영상 교재, < Windows Phone 7 Developm..
2011.06.11 -
[WP7] Windows Phone 7 개발을 해보자! (WP7 개발환경 구축)
( Image : http://channel9.msdn.com ) * 본 포스팅에서는 Windows Phone 7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고, Windows Phone 7 개발 시작시 많은 도움을 주는 의 동영상 강좌, 'Windows Phone 7 Development for Absolute Beginners'에 대해 소개 합니다. Windows Phone 7을 기다리는 사람들 2011년 6월…. 2010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안드로이드 vs 아이폰의 열기는 이제 어느 정도 식은 가운데, 올해 가을 쯤에는 국내에도 ‘Windows Phone 7 OS(이하 ‘WP7’)’를 탑재한 폰이 정식 발매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정식 WP7 스마트 ..
2011.06.10 -
Googled! - 우리가 알던 세상의 종말
구글이 검색, 이메일 서비스 등에 그치지 않고, '안드로이드(ANDROID)'라는 스마트 디바이스 OS 시장까지 진출을 하면서, 연일 세상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구글'하면 높은 기술력, 놀이터인지, 직장인지 구분이 안가는 구글의 사내복지 정책, 약간은 사회의 일반적인 통념을 거부하는 개구쟁이같은 회사 등의 이미지들이 많이 떠오르지만, 구글을 이해하고 표현함에 있어서 이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최근들어, 많은 분들이 구글을 그저 '잘나가는 IT회사'라고 생각하다가, '이 기업은 뭔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느끼기 시작하고, '구글이 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구글은 과연 어떤 회사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를 반영한 듯이, 구글에 대한 많은 책들이 출판되고 있는데, ..
2011.02.05 -
꿈 불꽃, Dream Spark를 이용해서 무료로 MS정품 쓰자!
처음으로 사용한 Visual Studio를 기억하시나요? 제가 처음으로 쓴 Visual Studio가 Visual Studio 6.0 Enterprise 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고등학교 독일어 선생님이 프로그래밍을 좋아하셔서 수업시간에도 독일어 대신에 이런 저런 컴퓨터 이야기도 해주시고, 프로그래밍을 배워보고자 하는 학생들한테는 불법 CD도 구워주셨습니다. 총 CD 4장이었는데, 그 당시에는 'MSDN'이 뭐인지도 모르고, '용량이 큰데 이것도 깔아야 하나?'하고 고민했던 기억이 나네요.. ^_^)a 부끄럽지만 그 이후로 정품을 사서 쓴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최근에 들어서야, 회사에서 사준 Visual Studio 2010 정품을 보면서 동료들과 함께 '와~!!!' 하고 탄성을 질렀죠. 정말이지, 처..
2011.01.21 -
2011 제6회 천문노트 정기관측회를 마치며..
천문노트 10주년!! 2011년. 천문노트 10주년, 그리고 6번째 정기관측회... 제가 천문노트의 운영진으로 활동한지 벌써 7년째로 접어드는 가운데, 천문노트가 벌써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오... 그런데, 사실 실감이 잘 안나네요~ 기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내가 천문노트에서 한 것은 이것이다!’ 라고 할만 것이 없이... 그냥 시간만 흘러버린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별님들께 하겠다고 약속하고 못 한 일들이나 하다가 중간에 그만 둔 일들도 많이 생각납니다. (미안해요~ 흐흐) 다시 돌아온 정기관측회!!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4, 5회 관측회를 참가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번 관측회는 반드시 가려고 맘 먹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이번 관측장소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관측지, 거창!!! ..
2011.01.14 -
오프라인에서 블로그 글쓰기 : MS Windows Live Writer 2011
2010년…. 써보고 싶은 주제에 대해서 제목과 키워드만 적어놓고 게시(발행)하지 못했던 글이 도대체 몇 개였는지 셀 수도 없습니다. 이 어쩔 수 없는 귀차니즘;; 2011년에는 좀더 활발한 블로깅을 해보고자, 예전부터 생각했던 ‘오프라인에서 블로깅’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그 동안은 온라인을 통해 블로깅을 했었으나, 글을 한편 쓸 때, 생각보다 시간을 많이 들이는 편이라, 임시저장을 자주해야 했고, 인터넷이 안 되는 환경에서는 글을 따로 쓸 수가 없어, 워드를 이용하거나 메모에 글을 적어야 했습니다. 이 또한, 실제 블로그 환경과 폭이 맞지 않으므로, 결국 차후에 글을 붙여 넣고 배치나 띄워 쓰기 등을 손을 봐줘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조금 떨어졌던 것도 사실입니다. 저..
2011.01.03 -
유전 알고리즘 참고 도서(TEXT, REFERENCE)
모든 분야가 그렇겠지만, 훌륭한 스승 밑에서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입니다. 대상이 그 어떤 것이든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거나, 도와줄수 있는 선임자가 있으면 훨씬 수월한 것 같습니다. 물론 학문의 최전선에 서 있는 사람들은 더 이상 가본 적 없는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하지만, 그들의 지식도 그 어떤 기초도 없이 나아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유전 알고리즘을 공부할때,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참고 도서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금 생각해봐도, 유전 알고리즘을 공부하기 시작할때, 체계적으로 공부하지 못하고 인터넷을 돌아다니며 공부했던 것은 효율이 좀 떨어졌던 것 같습니다. 이것이 내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그것을 이용해 공부하는 것에 거부감이 없는 세대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인터넷을 통..
2010.10.25 -
인공위성 띄우기 대작전! Open Source Satellite Initiative
SPACECHILD, 루나리안입니다 ^_^* 'CANSAT'과 관련된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너무나도 맘에 드는 기사를 발견했습니다. 작년 12월에 난 기사인데, 이때까지 모르고 있었던게 너무 아쉬울 정도네요~ 'OSSI'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싶고, 송호준 님과도 개인적으로 교류하면서 지냈으면 하는 맘이 듭니다. 제가 활동하고 있는 천문노트(http://astronote.org)의 별님들께도 소개를 해서, 티셔츠 공동구매를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운영진 분들과 상의를 해봐야겠습니다. 기사의 출처는 삼성카드 블로그, 크레월드 (http://blog.naver.com/creworld?Redirect=Log&logNo=70076290278)이며, 송호준님의 OSSI 공식 홈페이지는, opensat..
2010.10.02 -
좋은 논문을 쓰는 법 (Ten Steps to a Good Research Paper)
Issac Newton의 'Principia'와 Albert Einstein의 '논문집' 학문에 뜻이 있는 분들이나 과학/공학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좋은 논문'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한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좋은 논문을 쓰는 법을 따로 배우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물론, 시중에 '논문작성법'에 관한 책들도 있고 인터넷 자료들도 있습니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다른 논문들을 읽어가면서, 논문의 전개 방법과 양식을 배우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논문 어떻게 써야 되요?'라고 물으면, '써 보면서 배우는 거지, 누가 가르쳐주는게 아니다~'라는 대답이 돌아오기도 합니다. (물론 이런 경험이 없는 '행운아' 분들도 있습니다.) 아래는 작년에 문득 < '좋은 논문'..
201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