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톤] 2026 도쿄 마라톤에 당첨 됐어요!! (결제방법 및 비용)
·
러닝, 마라톤
안녕하세요. 스페이스차일드입니다. 와.. 저에게도 이런 일이!! 2026년도 도쿄마라톤 대회 신청을 했는데, 당첨이 되었습니다. 같이 신청한 러닝 메이트가 먼저 메일을 받고 열어봤는데 탈락이라서, '아 역시 경쟁률이 치열하구나' 했는데, 이렇게 좋은 일이!! 그런 일 없겠지만, 혹시라도 주최측 맘 바뀔까봐 "넌 사실 탈락인데, 오류였어!!" 이런거 할까봐 바로 결제 해버렸습니다. 기부에 동참도 하고, 마스터 카드로 하면 출발지에서 짐 맡기는 비용 ($11달러)까지 면제 되는데, 하필 가진게 BC카드 밖에 없네요 ㅜㅜ 다른 카드로 해도 되고, 페이팔 결제도 가능합니다. 마스터 카드로 하면, 참가권만 결제 해도 짐 맡기는 비용까지 함께 결제가 되고, 저처럼 다른 카드로 하면, 참가권 ..
[Git] 맥에 설치된 Git 버전 확인, Git 설치, PATH 우선순위 설정 방법
·
WEB DEV
1. 내 맥(Mac)에 설치된 Git 버전 확인법 Git은 오픈소스도구이므로, 최신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을 권장하는 편Git은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맥(Mac)은 Xcode를 설치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Git이 설치되어 있다.macOS 내장 Git은 보통 최신 버전보다 낮은 편이다. git --version 2. Git 실행경로 확인 (Mac 기본버전 / Homebrew 설치버전) 내 맥(Mac)에 설치된 Git이 Mac 기본 버전인지, Homebrew를 통해 설치한 버전인지 확인법 /usr/bin/git. /opt/homebrew/bin/git which git 3. Homebrew로 Git 최신버전 설치하는 법brew install git 4. 3번에서 Homebew로 Git 최신..
[Homebrew] 홈브루 업데이트, 설치 패키지 업그레이드 방법
·
WEB DEV
Homebrew는 자동으로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터미널에서 직접 명령어를 실행해서 관리해줘야 한다. 1. 현재 Homebrew 버전 확인 내 Mac에 Homebrew를 설치했던가?아래 명령어를 터미널에 쳐 보면 된다. 결과를 알려줄 때, 최신 버전이 얼마인지 함께 알려주면 좋겠지만, 그렇진 않다 brew --version 2. Homebrew 자체 업데이트 Homebrew라는 프로그램 자체를 최신 버전으로 갱신한다. brew update Homebrew 자체 업데이트가 끝나고 나면,아래처럼 유통기한 지난(?) 패키지들도 리스트업 해준다. brew outdated 명령어를 치면, 좀더 상세하게 얼마나 유통기간이 지났는지 최신 버전을 알려준다brew outdated 3. 설치된 패키지 업..
[VSC] 코파일럿 자동완성 끄기 (Copilot Completion Disabled)
·
WEB DEV
VSC에서 너무 과한 코드 자동완성 기능이 떠서,오히려 귀찮거나실습하는데 방해가 될 때 Visual Studio Code 오른쪽 하단에 작은 코파일럿 로고가 있다.클릭해서, Code Completions - All files를 클릭해서 꺼주면 된다. 끝.
[React] JSX (JavaScript XML)
·
WEB DEV
JSX (JavaScript XML)JavaScript 안에서 HTML 같은 문법을 쓸 수 있게 해주는 확장 문법HTML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JavaScript브라우저는 JSX를 직접 이해하지 못함- Babel 같은 Code Transformer가 JSX를 React.createElement 형태의 JavaScript 코드로 변환하는 식중괄호 {} 안에 변수나 함수 호출 결과 등을 넣을 수 있음JSX는 내부적으로 컴파일 될 때, 첫 글자가 소문자면 HTML 태그, 대문자면 React 컴포넌트로 취급함- 공식가이드에서도 컴포넌트는 PascalCase(대문자로 시작하는 단어 조합)로 작성할 것을 권장 React는 JSX 사용이 필수가 아니다.공식문서에서도 선택(optional)이라고 말하고 있다.하지만 ..
[React] 리액트 설치 없이 실습해보는 법(CDN 방식)
·
WEB DEV
React를 처음 공부할 때, CDN 방식, 개발환경 방식(번들러, npm) 두 가지가 있다. CDN 방식의 특징HTML 안에서만 임시로 React를 사용할 수 있음React, ReactDOM이 전역변수로 제공됨로컬(Mac)에는 아무것도 설치되지 않음 (기존 설치해 둔 Node.js, npm 미활용)HTML 파일을 열면 React가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CDN에서 받아온 JS를 실행하는 것 npm 설치 방식과의 차이npm 방식은 Node.js 환경에 React 패키지를 설치해서 프로젝트 내부에 node_modules/react 형태로 저장CDN 방식은 로컬에 설치 하지 않고, 실행할 때마다 네트워크를 통해 React 코드를 불러옴 리액트 React를 처음 경험/실습 해볼 때, 리액트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