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유전 알고리즘을 처음 접하고 나서 관련 연구 결과를 발표하거나, 논문을 쓸 때 가장 어려움을 느꼈던 부분은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해 개발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의 성능을 '가시적'으로 보여주기가 힘들다는 것이었다. 사람들에게 설명할 때 뿐만 아니라, 나 스스로도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성능을 평가해야 할지, 객관적인 지표를 마련하기가 어려웠다. 물론, 유전 알고리즘에도 다른 최적화 문제와 마찬가지로 최적화 대상이 되는 최적화 대상함수(reference function)에 해당하는, 적합도 함수(fitness function)가 있기 때문에, fitness function에 의한 적합도 값(fitness value)이 좋을 수록 최적화가 잘 이루어 졌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연산자들의 확률적 속성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