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리액트 설치 없이 실습해보는 법(CDN 방식)
·
WEB DEV
React를 처음 공부할 때, CDN 방식, 개발환경 방식(번들러, npm) 두 가지가 있다. CDN 방식의 특징HTML 안에서만 임시로 React를 사용할 수 있음React, ReactDOM이 전역변수로 제공됨로컬(Mac)에는 아무것도 설치되지 않음 (기존 설치해 둔 Node.js, npm 미활용)HTML 파일을 열면 React가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CDN에서 받아온 JS를 실행하는 것 npm 설치 방식과의 차이npm 방식은 Node.js 환경에 React 패키지를 설치해서 프로젝트 내부에 node_modules/react 형태로 저장CDN 방식은 로컬에 설치 하지 않고, 실행할 때마다 네트워크를 통해 React 코드를 불러옴 리액트 React를 처음 경험/실습 해볼 때, 리액트 설치..
Node.js, npm, 그리고 nvm (버전별 설치/관리를 위한 터미널 명령어들)
·
WEB DEV
Node.js구글 V8 엔진 위에서 만든 JavaScript 실행환경Node.js를 설치하면 JavaScript 실행환경이 생김브라우저 밖(서버, CLI, 데스크톱)에서도 JS 실행 가능JavaScript를 어디서든 돌릴 수 있는 작업장 같은 느낌 npm (Node Package Manager)Node.js와 함께 설치되는 패키지 관리자Node.js 설치시 자동으로 설치됨React, Express 같은 라이브러리 설치 / 업데이트 / 관리 역할 수행 nvm (Node Version Manager)여러 버전의 Node.js를 설치 / 전환할 수 있게 해주는 버전 관리 도구Node.js + npm 버전을 함께 관리 Node.js와 npm 버전, nvm으로 관리되는 모든 버전 확인 방법(맥 환경(zsh..
[VSC] MacOS, 터미널에서 Visual Studio Code 실행하기 (code . 명령어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때)
·
WEB DEV
맥의 터미널에서 % code . 라는 명령어로 Visual Studio Code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로 Visual Studio Code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는 2가지 이유에서 입니다. 아래 순서를 따라하세요. 1. Visual Studio Code의 설치경로를 확인한다. VSC는 Applications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Visual Studio Code가 Applications에 설치가 안되어 있는 경우에는 Visual Studio Code에서 아무리 shell command로 code command를 패스에 추가해줘도 맥을 리부팅하고 나면 다시 풀려버립니다. 그런 경우는 Visual Studio Code가 Applications에 설치가 되어 있지 않고, Downloads 폴더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