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DB] The Movie Database API Key 발급받는 법(무료, 개발용)

2025. 10. 4. 01:45·WEB DEV

https://www.themoviedb.org/

 

 

 

The Movie Database (TMDB)

 

https://www.themoviedb.org/

 

 

'The Movie Database'는 전 세계 영화, TV 프로그램이 정리된 방대한 사이트입니다.

 

너무나도 감사하게도, 사람들이 고생해서 별도의 DB를 만들지 않고도 본인들의 DB를 이용할 수 있게, API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 API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개발자 개인별로 발행되는 'API_KEY'가 필요합니다.

 

 

 

TMDB API Key 발급 받는 법

 

1. TMDB 사이트 가입부터

 

우선, 필수선행 조건. TMDB 사이트에 가입부터 해야 합니다.

 

 

2. API 발급 페이지로 이동하기

 

프로필 > 설정 > API로 이동합니다.

 

최종 도달하는 URL : https://www.themoviedb.org/settings/api

 

 

 

 

3. 개발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하기

 

API_KEY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우선,

내가 개발하고자 하는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TMDB 측에 설명하고 등록을 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

 

개발실습을 위해서 API_KEY를 발급받는 경우가 많을텐데,

그럼,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이야 그렇다 치고,

어플리케이션의 url 까지는 준비가 안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이 그렇겠죠?)

 

포기하고 뒤로 가기 누르지 말고 그냥, 

그럴듯한 url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어차피, 나중에 아래 그림에서 보이는 '상세정보' 탭에서 수정해줄 수 있습니다.

정말로 서비스를 출시할 때는 여기 와서 정보를 다시 제대로 수정해주면 됩니다.

 

 

4.  API_KEY 발급완료!

 

이제 API_KEY가 발급되었습니다!

 

이 API_KEY를 활용해서, TMDB api에 호출을 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다시 이 페이지에 접속하면, 본인에게 발급된 API_KEY를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PI KEY? API 읽기 액세스 토큰??

 



혹시나 API 키와 API 읽기 액세스 토큰이 각각 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TMDB의 인증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API Key(v3) 방식은 일반적인 TMDB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많이 사용되고,

API_KEY + URL Query 형식으로 이용합니다.

 

가장 많이 쓰는 형태고,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필요한 내용들은 다 지원됩니다.

고민하지 말고 API_KEY 방식으로 시작하시면 됩니다.

 

 

API 읽기 액세스 토큰 방식은 HTTP 헤더에 넣어서 사용하는 방식인데,

 

TMDB 웹서비스 자체에서 사용자가 저장해둔 정보(개인 계정정보)에 

직접 접근해서 읽고, 쓰기 위해서는 이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즐겨찾기 목록을 가져온다던지, 즐겨찾기 목록에 추가한다던지)

 

 

 

추가로 알아두면 좋을 몇 가지

 

TMDB api를 이용해서 개발된 사이트나 서비스를 비영리로 운영할 때는 상관없으나,

영리로 사용할 때는 TMDB 측에 신고를 하고, 일정 부분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무료로 쿼리를 날릴 수 있는 횟수가 어느 정도 정해져 있고,

이 부분은 조금씩 변동되는 것 같습니다.

서비스를 설계할 때, api 호출 회수에 대한 관리가 어느 정도 필요합니다.

 

 

 

 

 

이제 문서를 읽어가면서 개발을 할 시간이네요.

 

문서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developer.themoviedb.org/docs/getting-started

 

Getting Started

Get started with the basics of the TMDB API.

developer.themoviedb.org

 

 

 

끝.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WEB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vicon] 파비콘의 유래, 권장 규격, 그리고 만드는 법  (0) 2025.10.03
[tree] 프로젝트 구조를 트리로 보여주고, txt 파일로 저장하기(커맨드 라인 툴)  (0) 2025.10.02
[.env] dotenv 파일 내에서 주석 처리하는 법과 주의사항  (0) 2025.09.29
마크다운 에디터에서 문단 구분선 입력하는 법(GitHub에서 readme 파일 편집)  (0) 2025.09.28
'WEB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avicon] 파비콘의 유래, 권장 규격, 그리고 만드는 법
  • [tree] 프로젝트 구조를 트리로 보여주고, txt 파일로 저장하기(커맨드 라인 툴)
  • [.env] dotenv 파일 내에서 주석 처리하는 법과 주의사항
  • 마크다운 에디터에서 문단 구분선 입력하는 법(GitHub에서 readme 파일 편집)
SPACECHILD
SPACECHILD
우주공학, IT, 그리고 다가오는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합니다.
  • SPACECHILD
    스페이스차일드
    SPACECHILD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23)
      • SPACECHILD (158)
      • IT, Smart Life (156)
      • WEB DEV (26)
      • 러닝, 마라톤 (27)
      • 세계일주 (0)
      • ETC. (55)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대한민국 우주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2008-2019)
    • 우리나라 5대 항공우주박물관
    • [용어정리] 항공우주공학 : 우주파트를 중심으로
  • 인기 글

  • 태그

    nasa
    mac
    마라톤
    애플
    스페이스x
    비교
    스마트폰
    맥
    아이폰
    구입
    안드로이드
    우주개발
    달리기
    추천
    다운로드
    게임
    spacex
    애플워치
    우주산업
    후기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5
SPACECHILD
[TMDB] The Movie Database API Key 발급받는 법(무료, 개발용)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