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 파일이란 무엇인가?
.env 파일 형식은 간단한 key=value 쌍으로 이루어진 텍스트 파일이다
시스템의 환경 변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셀 스크립트 문법에서 유래했다고...
.env는 'enviroment'의 약자인 것.
.env 파일 형식을 사용하는 이유
보통 API_KEY를 저장한다던지, DATABASE_URL을 적어두는데 많이 사용한다.
민간함 정보를 코드에서 분리하여 하드코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다.
API_KEY=YOUR_SECRET_KEY
DATABASE_URL=postgres://user:password@host:port/dbname
.env 파일 작성하는 법
위처럼 변수 이름은 대문자와 언더스코어(_)로 구성하는 것이 관례다.
관례는 적당히 따라줘야 간지라는 것을 명심하자.
.env 파일을 깃허브(GitHub)에 안올리고 제외하는 법
보통 .env 파일을 Git 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민감한 정보가 저장소에 실수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Next.js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gitignore 파일을 열어보면,
아래처럼 스크린샷 처럼 .env 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은 git에 올라가지 않도록 기본적으로 기재 되어 있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한번씩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env 파일 안에서 주석다는 법
.env 파일 안에서는 '#'을 사용해서 주석을 달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해야 한다.
#은 줄의 시작에 있을 때만 주석으로 인식한다.
# 올바른 주석 (파서가 무시함)
API_KEY=YOUR_SECRET_API_KEY
API_KEY=YOUR_SECRET_API_KEY # 잘못된 주석 (값의 일부로 인식될 수 있음)
변수 값 뒤에 붙는 인라인 주석은 파서(parser)에 따라 다르게 처리되거나, 주석부분까지 값의 일부로 인식될 수 있다.
참고하자.
끝.
'WEB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크다운 에디터에서 문단 구분선 입력하는 법(GitHub에서 readme 파일 편집) (0) | 2025.09.28 |
---|---|
[Next.js] Next.js 새 프로젝트 생성하는 법+옵션선택(Step by Step) (1) | 2025.09.27 |
[ChatGPT] 유료 ChatGPT과 VSCode를 연동하는 법(CodeX 익스텐션) (0) | 2025.09.27 |
[npm] npm 패키지를 배포할 때, 같은 이름을 쓰는 패키지가 있는지 확인하는 법(세가지) (0) | 2025.09.24 |